<p></p><br /><br />오늘 사건 파일은 일명 괴물 쥐로 불리는 뉴트리아 개체수가 줄었다는 소식으로 시작합니다. <br><br>날카로운 이빨에, 튼튼한 발톱까지 갖춘 잡식성 동물인 뉴트리아는 물고기와 농작물을 닥치는 대로 먹어치우는 대표적인 생태계 교란종이죠. <br><br> 뉴트리아로 인한 농민들의 피해가 크다보니 4년 전부터 낙동강 주변 지자체들은 뉴트리아를 잡아오면 2만 원을 주는 수매제도를 실시했는데 어느 정도 효과를 보고 있습니다. <br><br> 해마다 2천여 마리씩 포획되고 있는데요,<br><br>낙동강 유역에 한 때 1만 마리 이상 살던 뉴트리아 개체수가 2~3년 사이에 거의 절반으로 줄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. <br><br> 지난해 초엔 뉴트리아 담즙에서 웅담성분이 검출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반짝 주목을 받기도 했습니다. <br><br>[이성규 / 낙동강유역환경청 자연환경과 팀장]<br>"작년 초에 그 기사가 나와서 문의전화는 있었는데 기생충이라든지 연구결과가 있어가지고 별 영향은 미치지 않았죠." <br><br> 남미 아르헨티나가 원산지인 뉴트리아는 원래 1980년대 모피 생산용으로 유입됐다가 골칫덩어리로 전락했는데요. <br><br>낙동강유역환경청과 지자체는 지속적으로 예산을 확보해 뉴트리아 포획을 계속 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<br>다음 소식입니다. <br><br>나눔의 상징인 헌혈, 생명을 살리는 의미있는 봉사활동인데요.<br><br> 헌혈을 많이 한 사람에는 대한적십자사가 유공장을 줍니다. 그런데 일종의 훈장같은 이 유공장이 중고물품 거래 사이트에서 헐값에 거래돼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. <br><br>대한적십자사는 헌혈을 한 횟수에 따라서 은장과 금장, 명예장 등을 주고 있는데 은장의 경우 만원에서 만 오천원 정도에 거래되고 있습니다. <br><br>구매하려는 사람들은 주로 단순 수집이나 장식용을 이유로 거래하는건데요. <br><br>대한적십사 측은 헌혈 훈장이 매매되는 것은 헌혈 정신을 훼손하는 행위라며 우려하고 있습니다. <br><br>[대한적십자사 관계자]<br>"숭고한 그야말로 상대방을 위해서 우리의 생명 그 자체를 주는 건데, 그 자체를 거래한다는 건 말도 안 되는 거거든요." <br><br>대한적십자사는 훈장에다 비매품이란 표시를 넣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지금까지 사건파일이었습니다.